반응형
반응형
터미널 실행 (alt + ctrl + T) 아래의 명령어 실행하여 lightdm.conf 파일 편집 만약 파일이 없을 경우, 파일 생성 sudo nano /etc/lightdm/lightdm.conf 자동 로그인 설정 내용 추가 [SeatDefaults] autologin-user=사용자이름 autologin-user-timeout=0 나가기 (Ctrl + X) 저장 (Y) 시스템을 재시작하여 자동 로그인이 적용되는지 확인 reboot
Error 한글 컨트롤 (HwpCtrl.ocx) 파일을 COM 구성 요소에 수동으로 추가하려니 에러 발생 ~~~을(를) 자동으로 등록하지 못했습니다. 원인 파악 원래대로라면 COM 구성 요소에 자동적으로 추가되어 있어야 할 것이 없다. 자세히 살펴봐보자. COM 구성 요소에 있는 것들은 경로가 system32 폴더에 밀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즉, 64비트의 COM 구성 요소임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내가 수동으로 추가하려는 ocx 파일은 32비트이기에 호출할 수 없는 이슈가 발생했었던 것. 그렇다면 32비트 COM 구성 요소를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실질적인 해결 방법은 아니지만, 우회적으로 해결 방법을 알아 냈다. 내가 사용하는 IDE 툴 버전은 Visual Studio 2022..
exERD 프로젝트 생성 exERD 실행 파일 - 새로 작성 - 프로젝트 일반 - 프로젝트 프로젝트 이름 정의 - 완료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ERD 생성 (리버스엔지니어링) 파일 - 새로 작성 - 리버스 엔지니어링 파일 이름 정의 생성한 프로젝트 선택 다음 1 : 가져올 DBMS 선택 포스팅에서는 MSSQL이므로 SQL Server로 선택 2 : JDBC 드라이버 추가 포스팅에서는 MSSQL이므로 mssql-jdbc 드라이버 사용 참고 : mssql jdbc 드라이버 다운로드 주소 (SQL Server JDBC 다운로드) https://learn.microsoft.com/ko-kr/sql/connect/jdbc/download-microsoft-jdbc-driver-for-sql-server?view=..
오드로이드 초기 설정 (root) 더보기 터미널 실행 알트+컨트롤+T (Alt + Ctrl + T) 관리자 계정으로 연결 sudo su 오드로이드 초기 비밀번호는 'odroid' 입니다. 초기 비밀번호 입력 [sudo] password for odriod: # 비밀번호 입력 'odroid' 비밀번호 변경 passwd YOURPASSWORD # passwd '비밀번호' 우분투 사용자 계정 추가하기 터미널 실행 알트+컨트롤+T (Alt + Ctrl + T) 사용자 계정 추가 # 사용자 추가 명령어 # sudo useradd USERNAME sudo useradd eunbyeol 사용자 비밀번호 입력 SSH 연결 설정하기 SSH 서버 설치 설치가 되어 있다면 아래의 내용 계속 진행 sudo apt-get in..
우분투 터미널에서 WiFi 연결 와이파이 주변 무선인터넷 리스트 보기 nmcli dev wifi list 와이파이 연결하기 nmcli dev wifi con '무선인터넷이름' password '무선인터넷비밀번호'
오드로이드 N2L tmi 단일 보드 컴퓨터 (SBC, Single Board Computer) 라즈베리파이와 유사한 디바이스, 스펙상으로는 라즈베리파이보다 조금 더 좋음 (출처 나무위키) 라즈베리파이를 사려다가 요즘 너무 사기에 가격이 비싼 것 같기도하고, 그 와중에 오드로이드를 발견! 프로그래밍 연습용으로 사용 할 목적으로 구매하였다. 기대기대 +_+ 준비물 오드로이드 이 포스팅에서는 단지 오드로이드 N2L을 위해 포스팅하였습니다. 리눅스 설치는 N2L 버전 전용이므로 설치 파일만 본인의 기기에 맞게 변경해주세요. 저장장치 (SD 카드) 우분투 다운로드 오드로이드 위키에서 자신의 기종과 원하는 리눅스 버전 다운로드 https://wiki.odroid.com/odroid-n2l/os_images/ub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