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비트가 대체 무엇일까? 컴퓨터에서 정보는 나타내는 최소 단위 0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것 즉,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2진수로 표현 비트를 조합하여 다양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음 비트의 수가 많을수록 데이터의 처리 속도나 용량 등이 향상 용량은 일반적으로 메모리를 의미 32비트 컴퓨터는 32비트로 구성된 CPU 사용 64비트 컴퓨터는 64비트로 구성된 CPU 사용 즉, 비트 수가 더 많기 때문에 데이터의 처리 속도가 높아 한 번에 더 많은 데이터 처리 가능 그럼 바이트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위 중 하나 8비트(bit)로 이루어진 데이터 묶음을 의미 즉, 1바이트는 256(2의 8승)가지의 서로 다른 값을 가짐 + 2바이트는 65,356(2의 16승)가지의 서로 다른 값을 가짐 간단히 말해서 바이트가 ..
MVVM 패턴이란? (Model-View-ViewModel)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으로 그래픽 인터페이스(뷰)와 비즈니스 또는 백엔드 로직(모델)을 분리 뷰가 특정 모델에 종속되지 않음 뷰 모델은 뷰에 대한 참조를 하지 않고 뷰의 속성을 직접 연결(bind) 모델 (Model) 도메인 모델과 데이터 접근 계층을 참조하는 것 도메인 모델 : 실제 상태 내용을 표현 (객체 지향 접근법) 데이터 접근 계층 : 내용을 표현 (데이터 중심 접근법) 뷰 (View) 사용자가 화면에서 보여지는 구조, 배치, 외관을 의미 모델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표현 사용자와 뷰의 상호 작용(클릭, 키보드 등)을 수신하여 데이터 바인딩을 통하여 뷰 모델로 전달 뷰 모델(View Mode) 공용 속성과 공용 명령을 노출하는 뷰에..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