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개요, 웹 서버의 필요성웹 서비스를 운영할 때, 비용상의 문제로 한 대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서버를 돌리는 경우가 있다.특히나 개인용으로 만드는 대부분의 토이 프로젝트는 실질적인 상업 서비스를 하지 않기 때문에여러 대의 컴퓨터를 두고 서버를 돌리기란 사실상 쉽지 않다.또한, 한 장소에서의 공유기를 통한 경우에도 결국은 하나의 외부 아이피를 통하기 때문에여러 개의 웹 서비스를 구축하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도메인을 연결해야 하는데 80 / 8080 포트는 이미 메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다른 포트를 사용하려니 도메인 뒤에 포트를 입력해야 한다.도메인 뒤에 포트를 입력하여 사용하려니 보기가 좋지 않다. 예시를 들어보자.현재 서비스 중인 웹 서비스가 있다고 가정하자.웹 서비스는 예를 들자면 abc.co..
개요도메인을 구입하여 블로그나 쇼핑몰, 특정 주제를 다루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을 때,또 다른 주제로 웹 사이트 확장과 함께 고민해야 할 부분이 있다.그것은 바로 서브 도메인이다. 내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면...더보기대화를 나눌 수 있는 채팅 토이 프로젝트를 도메인을 구입하여 포트폴리오 겸 연결해 놓았다.개발이 재미있어서 하는 목적도 있지만, 내가 만든 서비스가 비록 아무도 사용하지는 않더라도어딘가에서 작동되고 있다는 것이 변태 같지만 뿌듯하기도 하니까 말이다. 그러나 다른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려니 또다시 도메인을 사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에 빠지곤 한다.개발자들의 경우 간단한 테스트용 프로젝트를 웹 페이지에서 사용해야 한다면,대개 귀찮으니 이미 존재하는 도메인 뒤의 path 부분에 추가적으로 url을..
개요마크다운 문법으로 구성된 문서를 HTML에 표시하고 싶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직접 구현하는 것도 좋지만, 보편적으로 이미 만들어져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생산성면에서 훨씬 이득이다.보편적으로 사용되는 Markdown > HTML로 변환하는 라이브러리는 Marked를 이용한다.이번 포스팅에서는 Marked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Markdown 형식의 문서를 HTML 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가볍게 다뤄본다. 단, 단순히 파싱만 하는 과정을 소개하며 자세한 옵션에 대한 처리는 다루지 않는다.(글을 쓰는 목적은 단순히 마크다운의 문서를 웹 페이지에 표시하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Marked 라이브러리란?Marked는 JavaScript 기반의 Markdown 파서(parser)이다.이 라이브러리는 Mark..
개요iframe에서 부모 페이지의 요소를 제어해야 할 때가 있다.내 상황으로 예를 들자면, iframe 페이지에서 선택한 값을 부모 페이지로 넘겨주고 싶다.보통 다른 페이지간 데이터 전달은 URL 주소 뒤에 물음표(?) 기호를 이용하는 쿼리 스트링을 사용하지만,페이지 내에 구성되어 있는 iframe은 조금 경우가 다르다. 방법요소를 선택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document.getElementId를 사용한다.여기서 부모 요소를 의미하는 window.parent 키워드를 추가적으로 이용하면 된다. window.parent:window.parent는 현재 iframe의 부모 창을 참조하는 것을 의미한다.iframe 내부에서 실행될 때 window.parent를 통해 부모 문서의 window 객체에 접근할 수 ..
개요매일매일 혹은 주기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해야할 때가 있다.내가 지금 하고 있는 토이 프로젝트에서는,블로그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해주고 포스팅 주제를 정하기 쉽도록 인기 키워드를 보여주려 한다.때문에 매일매일 참고될만한 인기 키워드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야 한다. 이럴 때, 내가 특정 시간에 맞춰 일일이 인기 키워드 업데이트를 진행시켜주는 것보다는,자동으로 특정 시간에 알아서 척척 업데이트를 해주는 것이훨씬 안정적이고 생산성이 좋다는 것은 누구나가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즈의 작업 스케줄러를 이용하여스케줄에 맞게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작업 스케줄러 실행하기 윈도우 키를 누르고 "작업 스케줄러"를 검색한다.검색 결과에 작업 스케줄러..
오류 발생파이썬에서 데이터를 파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file read/write error :'cp949' codec can't decode byte 0x84 in position 10: illegal multibyte sequence 소스코드는 다음과 같다.try : with open(filepath, 'r') as f: read_data = f.read() return read_dataexcept Exception as e : return "file read/write error : " + str(e) 즉, 파일을 읽어오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원인 파악오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이전에 MySQL때 같은 경험이 있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