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꿈꿔왔던 서비스, 나도 한 번 만들어보자!개발자라면 누구나 한 번은 내가 만든 서비스가 수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것을 상상해보았을 것이다.하지만 막상 시작하려면 걱정부터 앞선다.그 이유는 우선 서버 구축부터 관리, 비용까지 생각하면 막막하기 때문이다.심지어 나의 경우에는 이미 AWS 1년 프리티어는 사용한 상황이고,가벼운 토이 프로젝트를 AWS EC2 서비스를 유료로 사용하자니 돈이 부담되기도 하다.집에 토이 프로젝트용 서버를 두긴하였으나,특히 블로그 같은 웹 서버의 경우에는 집에서 돌리는 서버가 어떠한 사유로 인해 꺼지거나,고장나는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클라우드로 눈길을 돌리게 되었다. 서버 구축에 많은 고민을 하던 중, 오라클 클라우드를 알게 되었다.내 눈길을 사로 잡은 것..
Nginx란?Nginx는 엔진엑스로 발음하며 경량, 고성능, 안정적으로 유명한 웹 서버이다.웹 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API 등 여러 방면에 사용된다.웹 서버 정적 파일 서비스: HTML, CSS, JavaScript 등의 파일을 클라이언트에 제공높은 동시성 처리: 많은 연결을 효율적으로 처리리버스 프록시 백엔드 서버 앞에서 요청을 분배하고 캐싱로드 밸런싱: 여러 서버에 트래픽 분산로드 밸런서 여러 서버 간 부하를 분산하여 시스템의 안정성 높임HTTP 캐시 자주 요청되는 콘텐츠를 캐싱하여 응답 시간 단축보안 기능 SSL/TLS 지원: HTTPS 연결 처리DDoS 방어: 트래픽 제한 등의 기능 제공가벼운 리소스 사용 적은 메모리와 CPU 사용으로 높은 성능 제공모듈식 구조 다양한 모듈을 통해 기능 확장..
개요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진행중인데 인텔리제이를 사용하여 개발을 한다.문제는 디버깅이 아닌 릴리즈 상태에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매번 인텔리제이를 키고 프로젝트를 실행하였었다.이런 절차와 과정으로 서버를 사용하기엔 다소 무겁다고 느낌을 받았다.IntelliJ 혹은 STS IDE 툴 없이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훨씬 가벼울텐데... "더 가볍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는 없을까?"이 글을 작성하게 된 계기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DE 툴 없이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JAR 파일로 만들어서 빌드 및 배포하는 방법을 다룬다.왜 JAR 파일을 사용해야 하는지, 어떻게 빌드하고 배포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는 왜 JAR파일로 배포해할까?JAR(..
개요블로그에 글을 작성할 때마다 느끼는 고민이 많습니다.어떤 말을 해야 할지, 개요와 서론을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내용은 어떻게 친근하게 다가가야할지 등으로요.매번 글쓰기가 너무 익숙치가 않아서 이 참에 구글 Gemini API를 이용하여 포스팅 작성에 도움을 받고자 만들었습니다.단순히 내가 사용하고자 만들었던 간단한 개인 프로젝트이지만 누군가에게도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관련 사이트해당 생성기를 이용하여 글을 작성한 서브 블로그입니다.티스토리 블로그 - 궁그미의 궁금증 해결(https://koongkumi.tistory.com/) 궁그미의 궁금증 해결궁금한 것들을 알아보고 파헤치는 궁그미입니다 궁금한 것이 있으면 댓글로 달아주세요!koongkumi.tistory.com 사용 스킬Language :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