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패키지/하위패키지 생성 패키지 만들기 하위 패키지 만들기 패키지 뒤에 온점(.)을 붙이면 하위 패키지로 생성 외부 클래스 호출 파일 구조 src ─ myPackage ┬ test_main.java └ test ─ test.java 하위 패키지의 test.java print 호출시 Hello World! 문구 출력 중요! 외부에서 호출시 함수와 변수는 public으로 선언 package myPackage.test; public class test { public String msg = "Hi!"; public void print()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패키지의 test_main.java 외부 클래스 호출 import 패키지명.클래스명 package m..
생성자 함수의 리턴 타입이 없음 클래스의 이름과 같은 이름으로 함수를 정의 메모리에 객체를 생성하여 영역을 확보 바로 인스턴스 변수에 데이터 셋팅 즉, 설정된 변수에 초기 값을 부여하는 것 this this는 객체 자기 자신을 의미, 자신의 메모리를 가르킴 전역 변수와 지역 변수를 구분짓기 위한 참조 변수 생성자의 파라미터 이름이 전역 변수와 이름이 같을 때 구분하기 위해 사용 this.변수명으로 정의 클래스 변수, static 키워드에서는 this를 사용 할 수 없음 public class ThisTest { String message = "Hi"; // 전역 변수 void setMessage(String message) { this.message = message; // 지역 변수, this로 지역 ..
오버로딩 (Overloading) 하나의 메소드의 이름으로 여러 기능을 구현하는 것 오버로딩의 조건 정의하는 메소드의 이름이 동일해야 함 입력받는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나 파라미터의 수가 달라야 함 public class Add { // 메소드 오버로딩 int add(int x, int y) { return x + y; } float add(float x, float y) { return x + y; } double add(double x, double y) { return x + y; } String add(String x, String y) { return x + 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dd a = new Add(); // 객체 생성 // ..
클래스 (Class)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변수와 메소드를 정의하는 일종의 틀을 의미 객체를 조금 더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구문 객체 (Object) 클래스에 정의된 내용대로 메모리에 생성된 것 객체 변수의 선언 및 생성(메모리 할당) 객체 변수 선언 : 클래스명 객체명; 객체 변수 생성 : 객체명 = new 클래스명(); 객체의 선언과 생성은 한 줄로도 표현 가능 public class Test { int a; } Test t; // 객체 변수 선언 t = new Test(); // 객체 변수 생성 Test t2 = new Test(); // 객체 변수 선언과 생성 인스턴스 변수 사용과 접근 클래스에서 정의한 변수 인스턴스 변수는 각각의 독립된 공간을 가짐 예..
캐스팅 연산자 (=형변환) 문자 '1'의 값을 숫자 1의 값으로 계산하여야 하는 경우라거나, 정수형 숫자들의 평균을 구할 때 소수점이 나와서 의도치 않게 소수점이 제거된 경우 등등이 있다. 위의 예시처럼 데이터타입이 다르면 원하지 않는 값이 출력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타입을 맞춰줘야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캐스팅 연산자를 이용하여 데이터타입을 변환하고 올바른 값을 출력하도록 한다. 캐스팅 연산자는 앞에 괄호로 데이터타입을 명시하면 명시한 데이터타입으로 변환된다. 캐스팅 연산자 사용 방법 변수 혹은 값 앞에 데이터타입을 명시 (데이터타입) 값 // 캐스팅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int a=1, b=2; double average; average = (a+b)/2; System.out.pr..
함수란? (Function) 입력 값으로 어떤 일을 수행한 뒤 결과 값을 출력하는 것 함수 사용의 장점 함수의 형식 (정의) int add ( int a, int b) int : 함수 타입 add : 함수명 int a, int b : 파라미터 return c return c : 반환값 함수의 리턴값(반환값) 형식 리턴값을 가지지 않는 경우 void test_func() : 리턴값을 가지지 않는 함수, 앞에 void 정의 리턴값을 가지는 경우 리턴값이 있는 함수는 반드시 리턴값을 정의 데이터 타입을 함수 앞에 정의하면 해당 데이터 타입의 리턴 값을 가짐 예) int test_func() : 리턴값이 정수형의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함수 예) double test_func() : 리턴값이 실수형의 데이터 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