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Nginx란?Nginx는 엔진엑스로 발음하며 경량, 고성능, 안정적으로 유명한 웹 서버이다.웹 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API 등 여러 방면에 사용된다.웹 서버 정적 파일 서비스: HTML, CSS, JavaScript 등의 파일을 클라이언트에 제공높은 동시성 처리: 많은 연결을 효율적으로 처리리버스 프록시 백엔드 서버 앞에서 요청을 분배하고 캐싱로드 밸런싱: 여러 서버에 트래픽 분산로드 밸런서 여러 서버 간 부하를 분산하여 시스템의 안정성 높임HTTP 캐시 자주 요청되는 콘텐츠를 캐싱하여 응답 시간 단축보안 기능 SSL/TLS 지원: HTTPS 연결 처리DDoS 방어: 트래픽 제한 등의 기능 제공가벼운 리소스 사용 적은 메모리와 CPU 사용으로 높은 성능 제공모듈식 구조 다양한 모듈을 통해 기능 확장..
개요, 웹 서버의 필요성웹 서비스를 운영할 때, 비용상의 문제로 한 대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서버를 돌리는 경우가 있다.특히나 개인용으로 만드는 대부분의 토이 프로젝트는 실질적인 상업 서비스를 하지 않기 때문에여러 대의 컴퓨터를 두고 서버를 돌리기란 사실상 쉽지 않다.또한, 한 장소에서의 공유기를 통한 경우에도 결국은 하나의 외부 아이피를 통하기 때문에여러 개의 웹 서비스를 구축하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도메인을 연결해야 하는데 80 / 8080 포트는 이미 메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다른 포트를 사용하려니 도메인 뒤에 포트를 입력해야 한다.도메인 뒤에 포트를 입력하여 사용하려니 보기가 좋지 않다. 예시를 들어보자.현재 서비스 중인 웹 서비스가 있다고 가정하자.웹 서비스는 예를 들자면 abc.co..
Preview집에서 구축해놓은 개인 DB 서버를 다른 외부 환경(포스팅에서의 환경은 회사ㅎㅎ...)에서 접속하여 테스트하기집에 구축한 개인 DB 서버를 연결 테스트 한 화면준비물안쓰는 컴퓨터 혹은 SBC(라즈베리파이 등)개인 서버이고 개발용이기 때문에 서버 컴퓨터까지는 고려 하지 않음! 포스팅에서의 환경구축할 DB 서버의 사양 (안쓰는 노트북)Bit : 32비트 운영 체제OS : 윈도우 10Memory : 3GBCPU : i5 M 430 (2010년식 듀얼코어 2.25GHz)요약 : 사양 안좋음구축할 MySQL DB 서버 설정* 이 포스팅은 MySQL이 설치되어있다는 전제하에 진행합니다.* 구축할 컴퓨터는 32비트이며 MySQL Server를 설치하여 진행하였습니다.MySQL 포트 확인&설정하기구축..
새 사용자 생성 (보노보 깃 서버에 로그인) Users 메뉴 - Create new user 추가할 계정 정보 입력 - Create 사용자 추가 확인 화면 리파지토리 멤버 추가 관리자 계정에서 멤버 추가 (관리자 계정으로) 멤버를 추가할 리파지토리 선택 하단의 'Edit' 클릭 Contributors - 추가할 멤버 체크 사용자 계정에서 리파지토리 확인 사용자 로그인 화면 - Contributors 체크 이전 아무것도 없음 사용자 로그인 화면 - Contributor 체크 이후 추가된 리파지토리 확인 추가된 사용자로 리파지토리를 확인한 화면 리파지토리 멤버의 Commit&Push 리파지토리 멤버가 아닐 경우 커밋 & 푸시 자격증명 실패 오류로 푸시가 되지 않음 리파지토리 멤버일 경우 Contributor..
작성자의 시스템 환경 OS : Windows 10 Tool : Git Bash Git Resource : Bonobo Git Server 리파지토리 생성 (보노보 깃 서버 접속 후 로그인) Create new repository 생성할 리파지토리 정보 입력 Contributors : 리파지토리 참여 멤버 참여 멤버는 리파지토리의 Commit, Push, Pull 가능 Administrators : 리파지토리의 관리자 리파지토리의 멤버 추가, 권한 부여, 리파지토리의 설정 변경 가능 리파지토리가 생성된 화면 리파지토리 정보 확인 Git Bash 실행 해당 포스팅에서 깃 관련 명령 수행은 사용자가 어느 프레임워크를 사용할지 모르므로 Git으로 진행합니다. 설치가 되어 있지 않으면 깃을 설치를 하시거나, 해당..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