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 Mathjax - 인라인 수식 표기, 수식 표기 시 줄바꿈 하지 않게 설정하기

반응형

 

Mathjax의 사용법에 대한 포스팅을 아래를 확인해주세요.

2023.02.08 - [Web Programming/Java Script] - JS - Mathjax - 웹페이지에서 수학 수식 표현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Mathjax에서 $$ 표기 시 단점과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인라인 표기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기존의 수식 표기 방법($$)의 단점

  • $$ 로 감싼 후 수식 작성
  • 그러나 수식이 표현되면 줄바꿈을 진행한다.
  • 예시)
<p>
    $$\mathrm{2× {2}^{\mathit{a}} × {\mathrm{16=2}}^{10} }$$일 때,
    자연수 $$\mathrm{\mathit{a}}$$의 값을 구하시오.
    먼저, $$2^{10}$$을 계산해보면 $$1024 = 2^{10}$$이다.
    이제 주어진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2 × 2^a × 16 = 2^{10}$$
    $$2 × 2^a × 2^4 = 2^{10}$$
    $$2^{a+1} × 2^4 = 2^{10}$$
    $$2^{a+5} = 2^{10}$$
    따라서, $$a+5=10$$ 이므로 $$a=5$$이다.
</p>


인라인 구분자를 설정한 수식

  • 인라인 구분자를 설정하고 줄바꿈 없이 그대로 출력
  • 예시) 인라인 구분자를 $로 설정한 인라인 수식
<p>
    $\mathrm{2× {2}^{\mathit{a}} × {\mathrm{16=2}}^{10} }$일 때,
    자연수 $\mathrm{\mathit{a}}$의 값을 구하시오.<p>
    먼저, $2^{10}$을 계산해보면 $1024 = 2^{10}$이다.
    이제 주어진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 × 2^a × 16 = 2^{10}$
    $2 × 2^a × 2^4 = 2^{10}$
    $2^{a+1} × 2^4 = 2^{10}$
    $2^{a+5} = 2^{10}$
    따라서, $a+5=10$ 이므로 $a=5$이다.
</p>


인라인 구분자 설정 방법

  • 인라인 구분자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음
    • 일반적으로 인라인 구분자를 $로 사용하나, 달러 기호가 너무 자주 사용되기 때문
    • 예를 들자면, 금액을 나타내는 2달러를 표기하기 위해 '$2'를 표시하게 되면 수학 기호로 취급함
  • mathjax 호출 시 같이 설정 스크립트 추가
    • inlineMath : 인라인 구분자의 시작 기호, 인라인 구분자의 종료 기호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mathjax/2.7.7/MathJax.js?config=TeX-AMS-MML_HTMLorMML"></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MathJax.Hub.Config({
        tex2jax: {
            inlineMath: [['$', '$']]
        }
    });
</script>

인라인 구분자 설정 후 사용 예시

  • 인라인 구분자 수식 시작 기호 : !
  • 인라인 구분자 수식 종료 기호 : *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mathjax/2.7.7/MathJax.js?config=TeX-AMS-MML_HTMLorMML"></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MathJax.Hub.Config({
        tex2jax: {
            inlineMath: [['!', '*']]
        }
    });
</script>

 

<p>인라인 수식 : !\mathrm{2× {2}^{\mathit{a}} × {\mathrm{16=2}}^{10} }*일 때</p>


참고

Mathjax - Writing Mathematics for MathJax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