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vi editor 기본적인 사용 방법, 명령어

반응형

vi

모든 리눅스와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마우스의 입력 없이 키보드의 입력만으로도 기능을 이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텍스트 에디터입니다.


vi editor 사용하기

리눅스 터미널에서 아래의 코드를 수행합니다.

  •  vi
    • vi editor를 실행시킵니다.
  • vi 파일이름
    • 파일이 존재하지 않다면 새로운 파일을 생성합니다.
    • 파일이 존재한다면 해당 파일을 불러옵니다.

모드

  • vi editor에서는 입력 모드와 명령 모드가 있습니다.
  • vi editor를 실행시 가장 처음에 명령 모드로 실행됩니다.
  • 모드 변경은 esc 키를 통하여 변경 할 수 있습니다.
    • 입력 모드 (= 편집 모드) : 문서 작성 및 편집
    • 명령 모드 : 모드 변경, 복사, 이동 등의 여러 작업
    • ex 명령 모드 : 수정, 저장, 종료

입력 모드 (= 편집 모드)

  • 명령 모드에서 아래 나열된 특정 키를 누르면 입력 모드로 변경 됩니다.
i : 현재 커서의 위치에서 입력 I : 현재 커서의 맨 처음 위치에서부터 입력
a : 현재 커서의 다음 칸에서부터 입력 A : 현재 커서의 맨 마지막 위치에서 입력
o : 현재 커서의 아랫 줄부터 입력 O : 현재 커서의 윗 줄에서 입력
s : 현재 커서의 입력된 글자를 지우고 입력 S : 현재 커서의 해당 줄을 지우고 입력

명령 모드

편집 모드에서 esc를 눌러서 명령 모드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 u : 한단계 되돌리기 (= 실행 취소, Ctrl+Z)

 

삭제

  • x : 커서 위치의 글자 삭제 ( = delete)
  • X : 커서 위치의 왼쪽 글자 삭제 ( = back space)
  • dd : 커서 위치의 해당 줄 삭제
  • D : 커서 위치부터 해당 줄의 끝까지 삭제

 

복사

  • yb : 커서 위치의 다음 단어 복사
  • yw : 커서 위치의 이전 단어 복사
  • yy : 커서 위치의 해당 줄 복사

 

붙여넣기

  • p : 복사된 내용을 다음 줄에 삽입
  • P : 복사된 내용을 이전 줄에 삽입

ex 명령 모드

esc를 눌러 명령 모드로 진입한 후 콜론(:)을 입력하여 아래의 특정 문자를 입력합니다.

  • :w : 저장
  • :w 파일이름 : 지정한 파일이름으로 저장
  • :q : 종료
  • :q! : 강제 종료
  • :wq : 저장 후 종료
반응형